안녕하세요. 정보를 알려드리는 다올입니다.
남극 대륙은 그저 하얗게 얼음과 눈 덮인 땅처럼 보이지만 그 아래에는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고대의 대륙이 숨어 있다고 합니다. 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출처 : https://bestglitz.com
남극의 지형을 자세히 기록할 수 있는 매핑 기술로 얼음 밑에 있는 남극의 진짜 모습이 드러났다고 합니다. 그곳에 있던 것은 지구에서 가장 깊은 고대의 계곡이 잠자고 있었다고 합니다.
지금까지 해온 남극의 조사는 레이더를 통해 이루어졌기에 정확한 지형과 그 깊이까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레이더가 계곡 측면 여기저기 부딪혀 바닥까지의 깊이를 감지 할 수 없었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번 조사에서는 레이더 외에 얼음의 흐름과 지진 활동 데이터를 조합하여 남극을 조사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더욱 상세한 지형을 파악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미국 빙설 자료 센터가 공개한 "BedMachin Antarctica" 지형 맵은 남극의 얼음 아래 있는 지형이 녹아내리는 빙하를 어떻게 가속, 감속, 정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또한 이 맵 데이터는 그 외에도 우리에게 남극의 덴만 빙하 아래에 있는 지구에서 가장 깊은 계곡을 발견시켜 줬습니다. 그 깊이는 3,500M에 달하며, 평균적인 바다 깊이에 맞먹을 정도라고 합니다.
지상에서 가장 낮은 지역인 사해(418M)보다 약 8배나 더 깊은 계곡이였던 것입니다. 이 계곡이 발견된 덴만 빙하가 있는 지역은 날씨가 거친 장소라 할 수 있으며, 내륙 쪽으로 경사진 암반은 빙하를 불안정하게 만들지만, 일반적인 빙하들의 경우는 내륙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덴만 빙하의 경우는 이러한 여유가 거의 없으며, 해수면을 1.5M나 올릴 수 있을 정도로 거대합니다. 이뿐만아니라 리커버리 빙하와 서포트 포스 빙하도 그동안 알려진것과 달리 수 백미터나 더 깊다는 것과 온난화로 인한 빙하 유실의 위험성이 훨씬 더 크다는 점도 알 수 있었습니다.
쓰웨이츠 빙하와 파인 아일랜드 빙하가 있는 서남극의 빙하 지역이 가장 취약한 지역이라는 점도 알게 되었죠. 19년도 상반기 캐나다의 과학자들은 북반구에서 녹은 빙하만으로 현재의 기후와 비슷했던 에미안 간빙기에 발생한 해수면의 상승을 설명할 수 없다고 결론내렸습니다. 그 시대의 기후는 현재와 비슷한 정도였음에도 불구하고 해수면의 높이가 지금의 바다보다 6~9M 더 높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죠. 이 말은, 북극 이외의 곳에서 물이 흘러들어 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입니다. 이것이 바로 과학자들이 남극 빙하의 붕괴를 주시하고 있는 이유입니다.
1992년 이래로 약 3조 톤의 남극의 빙하를 잃었습니다. 그리고 불행히도 지금 이 순간에도 그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지고 있죠. 이번에 만들어진 지도를 통해 남극 빙하의 변화를 추척할 수 있게 되었고, 그 위험을 알아 원인을 분석해 대비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출처 : https://youtu.be/oyrKsj-apcM
(Nature Geoscience 12월 12일자)
'정보창고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계 밖에서 날아온 최초의 성간 천체 오무아무아 (0) | 2020.08.20 |
---|---|
우주의 끝은 어떠할까? (0) | 2020.08.05 |
입자 가속기 속에 머리 넣은 남자, 아나톨리 부고스키 (0) | 2020.08.02 |
원숭이에게 인간의 유전자 이식 시 나타난 일 (0) | 2020.07.24 |
우주의 신비 : 우주에서 거대한 12가지 (1) | 2020.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