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보를 알려드리는 다올 입니다.
인류는 현재까지도 달에 다시 가기 위한 노력을 계속 하고 있죠. 마찬가지로 화성에도 우리가 테라포밍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 식민지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숨을 쉴 수 있는 대기와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낸다면 말이죠. 하지만 아쉽게도 현재의 기술로는 화성의 테라포밍은 불가능하다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기에 달에 대해 얘기해 보고자 합니다.
출처 : 구글 이미지
우주 과학자들이 다시 달을 주시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5가지로 추려보겠습니다.
1. 우주 집결지
중력을 극복하고 우주의 다른 천체에 도달하려면 특정 속도에 도달해야 합니다. 만약 지구에서 화성으로 이동하려면 약 13.1km/s 정도의 최소 속도가 필요하죠.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거대한 로켓과 톤 단위의 연료 그리고 아주 복잡한 궤도의 조작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달의 경우는 조금 다릅니다. 달에서 화성으로 이동하기 위해 필요한 속도는 2.9km/s면 가능하죠. 이는 지구에서 화성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속도의 약 1/4 밖에 되지 않죠. 또한 달은 귀중한 금속과 로켓 연료 성분을 포함하여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우 희귀한 광물인 트로이라이트도 존재합니다. 특히 트로이라이트는 달의 흙과 결합하여 시멘트보다 훨씬 더 강력한 건축 자재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 말은 달에서 직접 재료 조달을 통해 튼튼한 기지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달에 기지를 구축하게 된다면 우주 탐사 임무를 위한 노력과 비용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될 것입니다.
2. 미래의 연료
별에 연료를 공급하는 핵융합 과정을 잘 이용하면 미래의 청정 에너지원이 될 수 있습니다. 미래의 핵융합 원자로는 일반적인 헬륨보다 가볍고 안정적인 헬륨-3을 사용하게 될텐데요, 이 헬륨 동위 원소는 지구상에서 극히 드물게 존재하지만, 달에는 아주 풍부하게 존재하고 있죠. 이미 지구의 많은 국가와 기업이 달에 있는 헬륨-3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부분은 달에 영구적으로 인간을 정착시키기 위한 충분한 메리트가 될 수 있습니다.
3. 손상되지 않은 역사
지구의 표면은 비, 조수, 바람 또는 식물에 의해 풍화가 많이 진행 되었습니다. 하지만 달은 오랫 동안 그대로 멈춰있었죠. 지난 30억 년 동안 큰 지질학적 변화가 전혀 없었습니다. 달의 이러한 지질학적 특징은 과거 폭력적이었던 우주의 흔적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데요, 우리는 달을 탐사하여 손상되지 않은 태양계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4. 우주의 관찰
달의 대기 밀도는 지구의 10조 분의 1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우주를 관측할 수 있는 완벽한 조건을 우리에게 제공해 주죠. 또한 달에 설치된 관측소는 지구의 다양한 무선 전파로부터 완전히 보호될 수 있죠. 그리고 달은 대기의 밀도가 낮아 지금까지 우주 궤도에 설최 된 X선 또는 감마선 망원경을 달 표면에 설치할 수 있습니다. 망원경을 지상에 설치할 수 있게 되면, 우주 궤도에 설치된 망원경보다 유지하기 쉽고 업그레이드 또한 마음껏 할 수 있게 됩니다.
5. 사전 테스트
화성 임무의 주요 장애물 중 하나는 긴 우주 여행이 인간에게 미치는 예상치 못한 영향입니다. 만약 화성 기지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면 재보급 또는 구조에 수 개월 이상이 걸리게 되죠. 그래서 우리는 달을 이용해 먼저 사전 테스트를 진행하므로 기술과 경험을 쌓은 뒤, 화성 또는 그 이상의 행성을 탐사하는게 훨씬 더 실용적인 것이죠.
만약 달 기지에서 문제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달은 지구에서 불과 1~2일 거리에 있습니다.
달에서 수행된 최초의 과학적 연구는 1960년대 후반이었죠. 그 이후 약 반세기 동안 우리는 달에 발을 딛지 못했습니다. 아폴로 임무에 비해 더 향상된 기술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죠. 하지만 인류는 머지 않아 다시 달로 향하게 될 것입니다. 더 큰 우주로의 도약을 위해서 말이죠.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출처 : https://youtu.be/ZD-YFm6hIeE
'정보창고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자 가속기 속에 머리 넣은 남자, 아나톨리 부고스키 (0) | 2020.08.02 |
---|---|
원숭이에게 인간의 유전자 이식 시 나타난 일 (0) | 2020.07.24 |
우주의 신비 : 우주에서 거대한 12가지 (1) | 2020.07.22 |
블랙홀이란 무엇일까? (0) | 2020.07.15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블랙홀 (0) | 2020.07.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