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보를 알려드리는 다올입니다.
미국이 본격적으로 중국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있는 요즘 이번에는 G7 정상회의에 한국, 호주, 러시아, 인도를 초청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여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6월 개최 예정인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9월로 연기하고 한국과 호주, 러시아, 인도를 초청해 회담에 참여시키고 싶다는 의향을 내비쳤다.
30일(현지시간) AFP·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케네디 우주센터가 있는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에서 워싱턴DC로 돌아오는 전용기 안에서 기자들에게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함께 논의하기 위해 이들 새로운 국가들을 초대하고 싶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G7을 구성하는 국가들은 시대에 매우 뒤떨어져 있다(outdated)"며 "G7이 세계 정세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연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G7은 현재 미국과 이탈리아, 일본, 캐나다, 프랑스, 독일, 영국으로 구성돼 있다. 이들 정상들은 오는 6월 화상회의를 열고 국제경제 정책을 조율할 예정이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G7 정상회의를 직접 대면형식으로 개최할 수도 있다고 시사했지만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이에 단호한 반대를 표명하며 참석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G7 회의체를 근본적으로 바꾸자고 한 것인지 아니면 올해에만 G7 확대 정상회의을 열자고 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오는 11월 대선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이 G7 확대 정상회의에서 중국 문제를 논의하겠다는 것은 한국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 https://www.news1.kr/articles/?3950446
G7은 친미 성향의 서방 서진국 들로 구성되어져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G20 즉 각 대륙의 경제강국에 속하여 회의에 참석 하고 있지요. 이번 G7 회의에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의 4개국 초청 소식은 중국에 대한 대응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최근 코로나 사태의 주범을 중국으로 지목하였고, 홍콩 보안법 강제적 통과에 따른 대응이 아닌가 합니다.
미국이 중국 포위망으로 구상하는 인도 태평양 전략의 핵심 축인 호주, 인도, 한국을 초청하여 중국을 압박하려는 계산이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명숙 전 총리의 진실, 좌파의 대모? (feat. 호밀밭의 우원재) (0) | 2020.06.06 |
---|---|
문재인 정부 '한국판 뉴딜'에 5년간 76조 투입 과연 성공할 것인가 (0) | 2020.06.01 |
미 대통령 트럼프 기자회견 '홍콩 특별지위 박탈' (0) | 2020.05.30 |
미국의 중국에 대한 대응 "시진핑, 덤빌 생각조차 말라" 중국 앞 군사력 대폭증강 추진 (0) | 2020.05.29 |
탤런트 이동건과 조윤희 결혼 3년 만에 합의 이혼 (0) | 2020.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