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창고/일상

혈압 측정시 우리가 알아야할 7가지 사실

by 정보알려주는다올 2020. 9. 7.

안녕하세요 정보를 알려드리는 다올입니다.


생활하시다 병원에 가실 때 혈압을 측정하는 경우가 생기죠. 오늘은 혈압 측정시 알고 계셔야할 7가지 사항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출처 : 구글이미지 (헬스조선) 

1. 혈압 측정 준비


사람은 운동이나 약물 복용에 따라 혈압이 급격하게 변화합니다. 그렇기에 혈압 측정 30분전 운동을 하시면 안되고, 커피나 차, 술, 담배 등을 금해야 합니다. 평소에 먹지 않는 약들 예를 들면 감기약 같은 것도 복용하시면 안됩니다.


또한 최대한 계단을 피해 엘레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요즘 큰 병원들에는 1, 2층에 이러한 것들이 존재하는 이유가 바로 이것이죠. 그리고 소변을 보시는 것도 중요하며, 이는 방광이 차 있을 경우 교감신경을 자극하여 혈압이 상승되기 때문입니다. 같은 원리로 변비가 있어도 혈압이 높아지기도 합니다.


모든 준비가 끝나셨다면 최소 5분 이상은 안정을 취한 다음 혈압을 측정하시면 됩니다.


2. 언제 측정해야하는가?


혈압은 1년 중 계절 별로, 하루 중엔 시간 별로 조금씩 달라집니다. 보통 여름엔 체온을 낮추기 위해 혈관이 팽창하면서 혈압이 떨어지고 추운 겨울엔 체온을 올리기 위해 혈관이 수축하며 혈압이 상승합니다. 그래서 뇌혈관에 이상이 생기는 뇌졸증은 겨울에 잘 발생합니다. 그리고 24시간 중 새벽 취침시간에 최저로 떨어졌다가 기상후 상승하며, 오후시간 하락했다가 저녁시간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병원에서 한번만 측정하는 혈압은 부정확하다고 할 수 있으며, 정확한 측정을 위해선 하루 24시간 혈압계를 대고 측정해야하는데, 굉장히 번거롭고 불편하기에 보통은 하루 아침식사 전, 취침 전에 측정합니다. 자주 측정 할수록 혈압 패턴을 파악하기 쉽고 더 정확하겠지만, 직장인이 일하는 도중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며 혈압 측정하는 경우는 어렵겠죠.


3. 전자 혈압계 VS 수은 혈압계


보통 가정에서는 전자, 병원에서는 수은 혈압계를 이용해 측정하기에 전자 혈압계가 수은 혈압계에 비해 부정확하다는 인식이 있는데, 사실 전자 혈압계는 굉장히 정확한 편에 속합니다. 수동으로 측정하기에 사람마다 약간씩 차이날 수 있는데, 수은 혈압계보다 오히려 오차가 더 적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그런데 집에서 사용하는 전자 혈압계가 고장날 수 있기에 혈압이 높다면 병원에서 다시 한번 측정해보심을 추천드리며, 둘다 상완에 둘러 혈압을 재기에 정확한데 가끔 손목에 대고 재는 전자 혈압계가 있는데, 이것은 정확도가 낮아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수은사용 금지에 대한 미나마타 협약에 따라 20년부터 병원에서도 사용 금지 된다고합니다.


4. 측정 방법


앞의 모든 조건을 만족한 가운데 5분 동안 앉아서 안정을 취하신 후 팔을 덮는 옷을 모두 제거하시고 팔을 심장 높이에 올려서 측정하시며, 양쪽 팔을 1~2분 간격으로 최소 2번 이상 측정하시고 평균을 내시는게 정확합니다. 측정시 마다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니, 한번만 측정하면 부정확하니 여러번 측정하여 평균을 내는게 정확하겠죠.


연속해서 측정할 경우 1~2분간 휴식을 하셔야하며, 양쪽 팔 중 높은쪽 혈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5. 정상 혈압 기준


일반적으로 미국 기준으로 하며, 정상은 120에 80이라고 합니다. 고혈압은 아니지만 고혈압 위험군인 전고혈압 단계 기준이 130미만  80미만이 되었습니다.


수축기 혈압이 130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80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하는데, 고혈압도 단계를 나눠 140미만 90미만을 Stage1, 140이상 90이상을 가장 위험군인 Stage2로 구분 합니다.


*혈압 기준 : https://www.acc.org/~/media/Non-Clinical/Files-PDFs-Excel-MS-Word-etc/Guidelines/2017/Guidelines_Made_Simple_2017_HBP.pdf


6. 혈압이 높을때 행동법


혈압 측정시 고혈압이라고 무조건 약을 먹는게 아니며, 우선 혈압을 제대로 측정했는지 평가해야 되며, '화이트 코트 신드롬'이라고 흰가운을 입은 의사를 보면 긴장하며 혈압이 상승하시는 분들도 있기에 감별해야 합니다.


그래서 집에서 일상생활 시 측정한 혈압이 더 정확할 수 있습니다. 보통 지나치게 혈압이 높지 않은 경우 3개월간 운동과 식이조절로 환자의 생활습관 변화를 유도하며 꾸준히 혈압을 측정하는데, 이때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혈압이 높으면 의사와 상담후 혈압약 복용을 고려하는게 좋습니다.


7. 양쪽 혈압이 다를때


양쪽 혈압의 차이가 10 이상이면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012년 The Lanset 메타분석에 따르면 좌우 혈압차가 10 이상이면 심혈관질환과 뇌졸증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그리고 2012년 The BMJ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좌우 혈압차가 15 이상이면 말초혈관질환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The Lanset :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cet/article/PIIS0140-6736(11)61710-8/fulltext

*The BMJ : https://www.bmj.com/content/344/bmj.e2033


출처 : https://youtu.be/Ax8SIvA1CVA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