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보를 알려드리는 다올입니다.
술 마시면 체질적으로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들이 있죠. 또는 술을 먹었지만 얼굴색이 전혀 안 변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두 사람의 차이점이 있죠. 이런 얘기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술을 먹고 얼굴이 빨개지는 것은 간이 나빠서라고 말하는 것과 간과 상관없이 체질때문이라는 얘기가 많이 있었습니다. 오늘 말씀드릴 얘기는 술을 먹고 얼굴이 빨개지는 분들이 정말 조심해야 할 질병 몇가지를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출처 : 구글이미지 (사이언스 라이프)
내용에 들어가기 전에 다른것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술은 기호식품이죠. 근데 이 술이 WHO에서 지정한 1급 발암 물질이란 사실 알고 계셨나요? 또한 술이 몸 속에 들어오면 대사가 일어나죠. 대사되는 과정에서 나오는 물질이 하나 있는데, 그것이 바로 아세트알데하이드라는 물질인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우리 몸 속에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많이 쌓이면 이것 때문에 숙취가 일어나는 것이죠.
사실 얼굴이 빨개지고 안빨개지고의 차이는 이 알콜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우리 몸속에 얼마나 오래 남아있느냐에 따라서 얼굴이 빨개지고 가슴이 뛰고 머리가 심하게 아픈 증상이 있을수 있으며,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빨리 분해되면 증상이 줄어 들어 별로 티가 안나는 것이죠. 그래서 유전적으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시키는 효소가 많은 분과 적은 분이 있습니다. 그에따라 차이나는 것입니다. 그 효소 이름은 바로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라고 합니다. 이것이 충분하신 분들은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만들어지자마자 빨리 분해시키기에 얼굴이 빨개질 틈 없이 넘어가는 것이고, 적으신 분들이 얼굴이 빨개지고 가슴이 빨리 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죠.
그런데 연구자료에 의하면 한국인을 대상으로 조사해보니 약 40% 정도가 유전적으로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가 부족하다는 것이죠. 그래서 10명 중 4명 정도는 술 먹으면 얼굴이 빨개지는 것이죠. 저도 마찬가지로 빨개지는 스타일입니다. 그런데 이런 분들은 자꾸 술을 먹게되면 안빨개지는 사람보다 아세트알데하이드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죠. 즉, 발암물질에 노출되는 시간이 더 길어진다는 뜻입니다. 한마디로 건강에 나쁘다라는 것이죠.
연구 조사 결과에 의하면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술을 먹으면 대장암 위험률이 6배가 올라간다고 되어있으며, 식도암 위험률은 6~10배까지 올라갔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즉,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은 발암물질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은 만큼 암이 잘 생길 수 있다는 결론을 낸것이죠.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에게 자꾸 술을 권하는 것은 건강을 해치는 행동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아셨으면 좋겠습니다. 이것은 담배를 못 피는 사람에게 억지로 담배를 피게 하는 것과 같은 행위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술에 관해 관대한 문화이다 보니 억지로 술 먹이는 것도 많았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다름을 인정해야 소통이 가능하듯이 지금부터라도 술을 못 먹거나 얼굴이 빨개지는 사람에게 절대로 술을 권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그것은 그 사람에게 큰 해를 끼치는 행동이 될 수가 있습니다.
출처 : https://youtu.be/RsJLNCVX4M4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정보창고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상시 대처, 응급처치 방법 (0) | 2020.10.04 |
---|---|
유산소 운동 시 운동 강도 정하는 법 (0) | 2020.09.30 |
강원도 고성에서 너울성 파도로 인해 엄마, 아들 등 3명의 목숨 앗아가..(너울성파도란) (0) | 2020.09.28 |
헌혈을 해야할 필요성 3가지 (0) | 2020.09.27 |
다이어트에 더 효율적인 것은? (걷기 VS 뛰기) (0) | 2020.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