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보 알리미 다올입니다.
참조기라는 이름보다 굴비로 더 알려진 우리나라 대표 생선 중 하나인 굴비, 조기는 기운을 볻돋아 준다고해서 지어진 이름이죠. 참조기는 예로부터 귀한 생선이라 특별한 날에 상에 올라왔죠. 맛도 단백하고 고소하여 우리나라 국민들이 선호하는 굴비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해요.
◎ 굴비(참조기) 란?
농어목 민어과에 속하는 어종으로 전라남도 서남쪽 방언으론 '조구'라 부르기도하며, 배가 노랗다하여 '노랑조기', '누렁조기'. '황조기'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주로 우리나라 바다와 동중국해에 서식하며,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물을 따라 제주도로 이동하고 날이 풀리면 서해로 올라와 3월 ~ 6월 까지 번식을 합니다. 제철은 9월 ~ 2월 이라고 하네요.
요즘은 고급생선 취급을 받고 있지만 예전에는 고등어나 꽁치처럼 상당히 흔했던 생선으로, 6-70년대만 해도 큼지막한 조기를 통째로 구워서 도시락 반찬으로 싸오는 학생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지금도 바닷가에 인접한 시골지방에서는 흔하게 볼 수 있는 생선으로 조부모가 있는 집안에는 조기구이를 해주시는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많으며, 90년대 초만 해도 3~6월 번식기에는 알배기라고해서 알을 가득 밴 암컷들도 동네 시장에서 많이 팔았는데 조기 알은 명란보다 풍미가 뛰어나 많이 찾았으나 최근엔 개체수 유지를 위해서인지 알배기 생선을 찾기 어렵습니다. 참조기의 보존 처리 형태 중 가장 유명한 것이 굴비 입니다.
이름의 유래는 고려의 17대 왕 인종 때, 난을 일으킨 이자겸이 정주(지금의 법성포)로 귀양을 갔다가 해풍에 말린 조기를 먹고는 그 맛이 아주 뛰어나 임금에게 진상하였다고 합니다. 그는 말린 조기를 임금에게 바치며 자신의 뜻을 '굽히지(屈) 않겠다(非)'는 의미로 굴비라는 이름을 처음 붙였다고 합니.
조기를 소금에 절여 말린 것이며 해풍에 말린 영광 굴비가 유명합니다.
◎ 굴비 효능
1. 원기회복
단백질을 비롯한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게 함유해 원기를 회복하는데 탁월하다고 합니다.
2. 소화불량 및 위장질환 예방
성질이 따뜻하여 소화와 위장질환 예방에 좋으며 회복기 환자에게 좋은 음식이라고 합니다.
3. 성장발육
단백질을 비롯한 칼슘, 철분, 미네랄이 풍부해 성장기 어린이의 성장 발육과 어르신의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4. 신장기능 향상
비타민D가 풍부해 신장기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이외에도 면역력 증진, 냉증개선, 남성의 전립선 예방에 도움을 주며, 비타민A를 풍부하게 함유해 눈의 피로를 풀어주고 안구질환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 굴비 부작용
굴비는 조기를 발효한 식품이기에 알러지가 있으신 분은 피하시는 것이 좋으며, 과다 섭취 시 복통이나 설사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굴비 고르는 법
냄새를 맡았을 때 이상한 악취가 나지 아니하며 적당한 비린 향이 나는 것이 좋으며, 겉에 수분이 별로 없고 배가 노란색을 띄며 등이 자줏빛을 띄는 것이 좋습니다. 겉을 봤을 때 비늘이 빠진 곳이 별로 없고 머리가 몸통 보다 작은게 좋으며, 흰자위 주변은 노란 빛을 띄며, 동공은 또렷하게 검은 색인 것이 좋습니다.
굴비 머리에 있는 다이아 모양의 무늬가 있는데, 이는 국산 굴비와 수입산 굴비를 구분할 수 있다고 하며, 중국에서 넘어오는 굴비의 경우 조기가 아닌 부세를 말린 것으로 이 특유의 문양이 없다고 합니다. 지느러미가 노랗고(국내산) 회색(수입산)인 차이도 있습니다.
◎ 굴비 보관법
냉동보관을 하되 끈을 제거하시고 소분해서 보관 하시면 됩니다.
가족과 함께 굴비 드시고 건강 챙겨보심은 어떨까요 ^^
'정보창고 >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 먹으면 더 좋은 음식이야기 ( 전어 ) (0) | 2021.01.26 |
---|---|
알고 먹으면 더 좋은 음식이야기 ( 삼치 ) (0) | 2021.01.25 |
알고 먹으면 더 좋은 음식이야기 ( 쭈꾸미 ) (0) | 2021.01.23 |
알고 먹으면 더 좋은 음식이야기 ( 능성어 ) (0) | 2021.01.22 |
알고 먹으면 더 좋은 음식이야기 ( 블루베리 ) (0) | 2021.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