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보 알리미 다올 입니다.
여러분 우리나라에서 마시는 커피의 양을 알고 계신가요?
우리나라 성인 1명이 1년간 마시는 커피의 양은 512잔이라고 합니다. 그로인해 버려지는 커피찌꺼기(커피박)의 양은 2019년 기준 50.28만 톤이라고 합니다.
이는 커피 한 잔을 마시기 위해 커피 원두에서 추출하는 원액은 겨우 0.2%이며 나머지 99.8%가 모두가 찌꺼기인 커피박이 되는 것이죠. 이렇게 남는 커피 찌꺼기는 어떻게 될까요?
대부분의 커피박은 일반 쓰레기로 분류돼 버려지고, 매립 또는 소각 됩니다. 수거해가시는 분들이 많이 무거워 하신다고 하네요.
하지만 이렇게 버려지는 것도 있지만 업사이클링 하는 곳도 있다고 하네요.
* 업사이클링 : 재활용품에 디자인 또는 활용도를 더해 그 가치를 높인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
뿐만아니라 커피박을 재생에너지원으로 바이오 에너지 생산도 가능하다고 하며 이를 통해 발전 및 수송용 화석 연료를 일정 부분 대체할 수 있을것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해요. 그러나 정부로부터 순환자원으로 인정받지 못해 여전히 폐기물로 분류되어 있기에 정확한 커피박의 규모도 재활용되는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하니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렇게 많은 관심을 가지지 못한 커피박이지만 민간에서는 다양한 재활용 시도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환경재단과 현대제철, 한국생산성본부가 인천에서 사회공헌활동으로 '커피박 재자원화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여기에 지방자치단체도 참여하며 지역내에서 커피박을 수거 생산 소비하는 자원순환 모델을 토대로 커피박을 재자원화하여 폐기물 처리 비용 절감과 30만개 제품 생산, 지역사회 일자리 창출 등의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합니다.
환경재단은 공모를 통해 커피 점토를 이용한 화분, 연필, 벽돌 제작을 비롯해 운동장과 트랙 등에 설치 가능한 탄성 바닥재 개발을 선정하고 진행하고 있습니다.
참고 :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1014022001
현재 기호식품 중 1위가 커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많은 분들이 즐기시고 주변을 지나가더라도 보이는게 카페죠. 한데 원두를 내린 후의 커피 찌꺼기에 대해 생각하시는 분들은 많이 없죠. 이러한 사업들이 커지고 알려져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좋은 방향으로 진행 되었으면 합니다.
'정보창고 >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 먹으면 더 좋은 음식 이야기 ( 찔레순 ) (0) | 2021.05.31 |
---|---|
알고 먹으면 더 좋은 음식이야기 ( 마늘쫑 ) (0) | 2021.04.07 |
알고 먹으면 더 좋은 음식이야기 ( 역돔 / 틸라피아 ) (0) | 2021.04.01 |
알고 먹으면 더 좋은 음식 이야기 ( 벌나무 ) (0) | 2021.03.31 |
알고 먹으면 더 좋은 음식 이야기 ( 물냉이/크레숑 ) (0) | 2021.03.19 |
댓글